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재활 치료4

1. 목, 어깨 근육통 (근막통)에 대한 스트레칭 안녕하세요, 재활의학과 의사 닥터 RMJH입니다. 지난시간에 제가 우리가 얘기하는 대부분의 근육통은 사실상 근막통이라고 말씀드렸죠~? 오늘부턴 근막통 하나하나에 대해서 치료할 수 있는 스트레칭을 알려드릴거고 첫 번째로 "목과 어깨의 근육통"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목과 어깨의 근육통은 살면서 발생하는 근육통 중 가장 흔하다고 과언이 아닐정도로 현대인에선 정말 흔하게 발생합니다. 오랫동안 앉아서 컴퓨터를 하거나 공부를 하면서도 많이 발생하고 동반된 질환으로 거북목도 매우 흔하죠. 목과 어깨의 근육통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근육을 몇개만 살펴보면 - 승모근 (상부) - 흉쇄유돌근 - 견갑거근 등이 있습니다. 특히 목과 어깨쪽으로 근육통이 오면 동시에 "두통"이 오는 경우가 굉장히 흔합니다. 근막통이란 어느 한.. 2021. 1. 6.
"근육통"이란 무엇인가요? (feat. 근막동통 증후군) 우리는 일상에서 흔히들 "근육통"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근육통의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요? 네이버에 근육통을 검색하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에 따른 네이버 백과에서 얘기하기로는 '근육통이란 근육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의미하며, 다양한 질병이나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이다.'라고 정의합니다. 즉, 쉽게 말해서 근육에 생기는 통증인 것이죠. 다만, 이러한 근육통의 정의는 워낙 광범위해서 외상같은것들도 다 포함합니다. 일상에서 마주하는 근육통은 "근막동통 증후군 (Myofasical pain syndrome)"입니다. 마찬가지로 정의를 쉽게 설명드리자면 '오래쓰거나 무리하는, 등 여러 원인에 의해 근육이 "뭉쳐서" 생긴 활동성 유발점 (trigger point)에 의해 생긴 근육의 통증"입니다. .. 2021. 1. 3.
심장재활 운동의 단계는 어떻게 되나요? 첫 외래 방문 시 혹은 재활치료 후 추적 평가를 하는 시기에 심폐기능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하게 되고, 검사 결과에 따라 환자별 맞춤 운동 강도를 설정하여 시행하게 됩니다. 아래의 심장재활치료의 "단계"를 참고해주세요. 위의 단계에서 1단계는 병원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2단계는 병원과 집에서의 운동 병행, 그리고 3단계는 완전히 집에서 독립적으로 재활운동을 지속해 나가는 것입니다. 이제는 점점 패러다임이 변해가기 때문에 꼭 내가 병원에서 입원을 해야할 심장질환이 있지 않더라고, 미리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내가 "심장기능이 안좋거나 비만, 당뇨, 등이 질환이 있으면" 심장재활운동을 가정에서 꾸준히 시작하고 지속하는것이 좋습니다. 2020. 12. 26.
심장재활 운동이란 무엇일까요? 심장재활이란?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심폐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개별화된 운동 치료 및 위험인자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병원에서 치료를 할 경우엔 심장재활 운동 치료실은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다학제팀을 구성하여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심폐기능 향상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심장재활 운동을 함으로써, - 혈관을 부드럽게 해주고 근육의 효율을 높여서 '재활치료 이전보다 힘든 일을 할 수 있게 되며 쉽게 피로하지 않게' 됩니다. - 일상으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하며 체력을 향상시킵니다. - 혈중 지질을 개선시키고 체지방률을 감소시킵니다. - 혈당을 개선시키고 혈압을 낮춰줍니다. -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삶의 질을.. 2020. 12. 25.